안녕하세요, 타이송입니다
드디어 새해가 밝았는데요, 2022년 정말 많은 정책들이 없어지고 다시 새로 생겼습니다.
그 중에서도 가장 관심있게 보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청년들을 위한 정책인데요.
저 또한 청년 중 하나로서 유심있게 본 정책 중 하나가 아닐까 싶습니다.
2022년 청년희망적금을 시작으로 청년 내일저축계좌 그리고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까지 2022년 완화 조건으로 발표가 되었는데요. 어떻게 바뀌었는지 한번 확인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.
2022년 청년 금융상품
2022년, 청년의 자산형성을 지원하는 정부·지방자치단체의 금융상품들이 출시될 예정입이라고 합니다.
금융당국 관계자는 "청년들이 이른바 '영끌'을 통한 가상자산 또는 주식 투자 등 리스크가 있는 투자에만 몰두하지 않고 안정적인 자산형성 습관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취지' 라고 발표했는데요,
2022년에 새로 출시되는 금융상품들은 청년이 일정 기간동안 꾸준히 돈을 저축하면 비례하는 만큼 돈을 준다는 간단한 얘기
2022년에 출시되는 금융상품으로는 ①청년희망적금 ②청년내일 저축계좌 ③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 등이 있고,
기존에 시행되었던 청년내일채움공제는 혜택이 조금 더 확대 되었습니다
1. 청년희망적금
청년희망적금은 만19세 ~ 34세 청년을 대상으로 하며, 총급여 3600만원 또는 종합소득 2400만원 이하의 청년이 2년 만기 적금에 가입하면 시중금리 수준의 이자에 더해 1년차 2%, 2년차 4%의 장려금을 받을 수 있는 상품입니다. 월 50만원 한도로고 적금을 들면 2년 후 만기 시 시중금리에 더해 36만원을 추가로 받을 수 있습니다.
청년희망적금 자격 , 청년희망적금 신청, 청년희망적금 가입 방법까지 자세하게 확인 해 보도록 할게요.
2. 청년내일 저축계좌
연소득이 2400만원 이하라면 보건복지부의 '청년내일 저축계좌' 를 추천 드립니다. 이는 3년 만기로 월 10만원씩 360만원을 저축하면 정부가 360만원 ~ 1,080만원까지 지원하여 만기 시 최대 1440만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.
본인(10만원/월) + 정부지원금(30만원/월) = 40만원]*3년 = 1,440만원
이렇게 매월 40만원씩 3년간 총 14,440만원을 지원하는 청년지원정책인데요!
2022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방법은 오프라인신청만 가능하며
읍/면/동 주민센터에서 2022 청년내일저축계좌를 신청하시면 되는데요!
2022 청년내일저축계좌 신청기간은 아직은 공개되지않았지만
지난 21년도 첫 신청이 2월에 시작되었으므로, 머지않아 시작될것으로 예상됩니다!
3.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
연소득이 5000만원 이하라면 기획재정부의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를 통해 제테크를 하실 수 있습니다.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는 연 600만원 한도로 3~5년 가입하면 납입액의 40%를 소득공제 해줍니다. 연 600만원에 3년 만기 펀드를 가입하면 만기 시 원금 1800만원에 펀드수익금, 소득공제 최대 720만원 혜택을 볼 수 있습니다. 청년형 소득공제 장기펀드에 대한 소득공제 적용기한은 2023년 연말까지 가입하는 것에 한해 적용됩니다.
'타이송's일상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빕스 샐러드바 가격 할인 카드 메뉴, 이것만 보세요 (0) | 2022.01.10 |
---|---|
아웃백 스테이크 하우스 메뉴 할인 카드, 이거만 보세요. (0) | 2022.01.08 |
맥도날드 메뉴 런치 해피밀 딜리버리 가격 정보 (0) | 2022.01.03 |
피자헛 메뉴 할인 1+1 방문포장 할인 정보 (0) | 2022.01.01 |
QCY 블루투스 이어폰, QCY T9 언박싱 후기 (0) | 2021.01.27 |